윈도우 운영체제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디펜더 기능이 기본적으로 켜져있을겁니다. 디펜더가 켜져있으면 사용자가 스파이웨어나 기타 동의없이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기 전에 알림 메시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이 기능이 번거롭다고 생각되어 끄기를 원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디펜더 끄기 팁에 대해서 알려드릴텐데요 제 개인적으로는 그냥 켜둔 상태로 컴퓨터를 하는것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제어판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보기 기준은 큰 또는 작은 아이콘으로 변경해주세요. 범주로 되어있을때에는 도저히 디펜더 메뉴를 찾기가 어렵더군요.



물론 잘 찾아보면 있겠지만 그냥 기준을 아이콘으로 해놓으면 한 번에 찾으실 수 있습니다. [Windows Defender] 항목을 찾아서 들어가줍니다.

 

 

새롭게 열리는 창에서의 기본 탭은 [홈]으로 되어있을겁니다. 그것을 톱니바퀴가 그려져있는 [도구]쪽으로 옮겨줍니다. 그러면 도구 및 설정 탭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옵션]이라고 쓰여져있는 메뉴로 들어가주세요.

 

 

옵션 메뉴에서 맨 하단쪽에 [관리자]가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서 윈도우 디펜더 끄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 사용] 항목에 체크가 되어있으면 기능이 켜져있는 것이고 체크를 해제하면 기능을 끄는 것입니다. 다만 끄기로 설정할 경우 경고 알림창이 하나 뜰겁니다. 그것까지 무시를 해주셔야 합니다.

 

 

애초에 끄기를 원했다가 다시 켜기로 마음이 바뀌었을 경우 위와같은 방법으로 다시 켤 수 있습니다. 방법은 오히려 더 간단한데요 [Windows Defender] 아이콘을 선택하여 창이 열리면 [여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