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5000 실수령액 계산하기
매 년 꼬박꼬박 연봉 5000만원씩만 받을 수 있다면 이직을 하지 않고 그 곳에서만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사실 그만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저도 그중에 한 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5천보다도 더 많이 받는 분들도 있는데요 아무튼 자기 스스로가 그만큼의 가치가 있을만큼 자기개발을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연봉 5000 실수령액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인 계산기를 이용해도 되지만 이번시간에는 커리어를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여 커리어를 치시면 위와같이 바로가기 주소를 통할 수 있습니다. 메인화면에 접속하여 페이지 중간쯤에 있는 [연봉계산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자신의 실 급여에 대해서 계산해볼 수 있는 툴입니다. 현재 받고있는 연봉 또는 희망 연봉을 입력하고 계산하기 단추를 누르면 공제액을 제외한 예상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봉 입력 칸에는 급여구분 및 퇴직금 구분을 해주시고 비과세액은 얼마인지 그리고 부양가족수는 몇 명인지 20세이하 자녀수는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정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그림과 같이 연봉 5000 실수령액으로 계산한다고 가정하고 자녀는 0명, 부양가족수는 본인포함 1명, 비과세액은 10만원일때 퇴직금을 별도로 지정하고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돈이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예상으로는 대략 350~400정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역시 그정도 나왔군요. 3584220원이 나왔습니다. 공제액 합계를 보니 582440원이 나왔는데요 월급의 상당 부분을 갉아먹는군요. 여기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약, 고용보험,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가 포함됩니다. 오늘은 연봉 5000 실수령액 계산을 통하여 공제액과 실제 받는 금액을 계산해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한번 자신의 연봉을 입력하여 계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