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속도측정 방법
예전에는 HDD 방식의 하드를 많이 사용했었는데 요즘에는 SSD와 HDD가 같이 들어있는 컴퓨터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 PC역시 마찬가지인데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SSD에 넣고 사용하면 되고 자주 쓰지 않는 것들은 비교적 용량이 큰 HDD에 넣어두고 필요할때마다 빼내서 쓰면 됩니다. 아무튼 오늘은 ssd 속도측정 해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라는 사이트를 활용하는 것 같은데 저도 한번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접속하는 방법은 구글 검색창에 위의 그림과 같이 [crystal dist mark] 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링크를 타고 페이지에 들어가면 몇 몇 에디션들이 나오는데 가장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것이 바로 포터블 버전입니다. 3MB짜리니까 부담이 없더군요.
ssd 속도측정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완료하면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이 됩니다. 해당 아이콘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압축풀기 단추를 누릅니다.
32 및 64 이렇게 두가지의 숫자로 적혀있는 아이콘들이 나오는데요 각각은 32비트와 64비트 운영체제를 의미합니다. 자신의 컴퓨터 OS에 맞춰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64비트 컴퓨터라서 그것으로 골랐는데요 먼저 드라이브 선택을 해주시고 세부적인 항목에 대해서 각각 측정할수도 있고 아니면 ALL 단추를 눌러서 한번에 측정할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번에 다 하려면 시간이 다소 걸립니다. 그래도 대략 5분 안쪽으로는 다 측정이 완료되는 것 같더군요.
제 컴퓨터의 ssd 속도측정 결과는 이렇게 나왔습니다. 저도 각 항목에 대해서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Read 및 Write 로 구분되어있는 것을 보니 SSD가 읽기를 하거나 쓰기를 하는 양에 대해서 초당 얼만큼의 양을 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수치가 높을수록 빠르다고 할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