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경력계산기 이용하기
일을 처음 시작하는 신입사원에게는 크게 자신의 경력에 대하여 계산할 필요가 없겠지만 이직을 여러번 하거나 기존에 하던 일을 그만두고 새롭게 직장을 구하는 경우에는 그동안 자신의 경력에 대하여 이력서에 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그 부분이 인정되어 취직을 할 때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때문인데요 오늘은 총 경력계산기 이용 방법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봅니다.
오늘 제가 활용해볼 사이트는 커리어라는 곳입니다. 사람인을 이용해볼까 하다가 이곳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업종직별, 지역별, 공채속보, 고졸공채, 연봉정보 및 인재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희망을 전하는 취업포털이라는 문구가 쓰여져있는데요 사실 저도 참 오랜만에 방문해보는 곳이긴 합니다. 메인페이지를 보시면 화면의 중단쯤에 [경력계산기]가 있을겁니다.
해당 아이콘을 눌러서 새롭게 페이지를 열어줍니다. 굳이 이 계산기가 아니더라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공채달력, 글자수세기, 사진조절, 학점변환 등의 메뉴가 있으니 같이 참고해보세요.
만약에 이력서가 있을때에는 커리어에 있는 이력서의 세부경력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게 없을때에는 그냥 자신이 일했던 기간을 하나하나 입력하여 총 경력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저도 임의로 입력을 해보았는데요 총 3회에 걸쳐서 이직을 했다고 가정하고 일했던 기간은 위 그림처럼 지정해보았습니다. 이제 변환하기 단추만 누르면 됩니다.
총 경력계산기 산출 결과 5년 8개월이라는 수치가 나왔네요. 이정도면 동종업일 경우 꽤 괜찮은 경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타종이라면 그 회사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네요. 어쨌든 경력사항은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새롭게 취업을 할 때에 꼭 빼놓지 말고 자신의 경력을 모두 작성하여 취직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