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과제라든지 레포트를 제출할때에는 굳이 단을 나누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논문을 작성하거나 할때에는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글 다단설정 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글을 올려봅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중인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은 2010 버전이며 해당 버전을 기준으로 글을 작성함을 알려드립니다.

 

 

단을 나누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편집 용지에 대한 것인데요, 들어가는 방법은 화면 상단에 있는 [쪽] 버튼을 누른다음 [편집 용지]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단 나누기보다도 우선되어야 하는 작업인데요 용지에 대한 선택과 여백과 같이 전체적인 틀을 먼저 잡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떤 작업들을 할 수 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탭은 기본 및 줄 격자가 있는데요 기본을 보시면 출력할 용지의 종류와 용지의 방향, 제본, 여백에 대한 옵션을 바꿀 수 있습니다.



특히 용지 여백 부분은 적절하게 잡아주어야 너무 비어보이거나 꽉차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설정을 모두 마쳤다고 가정하고 한글 다단설정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아까와 같이 화면 상단에 있는 [쪽] 버튼을 눌러서 [다단 설정] 으로 들어가주시면 되겠습니다. 별도로 단축키는 없는 것 같은데요 대신에 다단 설정 나누기는 [Ctrl + Alt + Enter] 키로 하실 수 있습니다. 단 설정 창을 열면 아래와 같은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단의 종류와 자주 쓰이는 모양, 단 개수 정하기, 구분선 넣기, 너비 및 간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한 개짜리 단이 아니면 두개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 같은데요 여러분들도 작업하려는 문서의 성질에 맞도록 단을 나누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