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이나 시내버스에 비하여 택시 요금은 비싼 편이기때문에 저는 자주 이용하지는 않는데요, 하지만 목적지에 빨리 도착해야 하거나 대중교통 이용시간이 끊긴 이후에는 어쩔 수 없이 택시를 탈 때도 있습니다. 오늘은 택시비 계산 방법을 알아볼까 하는데요 지역별로 차이가 있긴 합니다. 또한 새벽에는 할증이 붙기때문에 할증요금도 미리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그럼 먼저 택시비 계산부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네이버 포털을 이용해보았는데요 위의 그림처럼 검색창에 [택시요금조회] 라고 치시면 곧바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데 별도의 서비스라기보다는 네이버지도의 기능 중 일부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저도 임의로 지역 설정을 하여 택시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가평에서 강원도 춘천까지로 계산을 해보았는데요 두가지의 경로가 나왔으며



택시비는 42000원에서 43000원 사이로 나오네요. 주유비와 비교하면 확실히 많은 금액이긴 합니다. 참고로 여기에 표시되는 택시비의 기준은 서울을 기준으로 표시된다고 합니다.

 

 

다음은 지역별 택시요금과 할증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전국 택시운송사업조합 연합회] 라고 검색하시면 바로가기 링크를 통하여 페이지 접속이 가능한데요 메인화면에서 [택시고객지원센터] 로 들어간다음 [지역별 택시요금 안내]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이처럼 지역에 따른 기본 및 주행요금, 시간요금, 할증비율에 대하여 택시비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광주의 경우 기본 2800원부터이며 145미터당 100원이 붙습니다. 시간요금은 35초당 붙네요. 심야시간에는 20% 할증이 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