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대한민국에서 살고있지만 한글 못지않게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바로 영어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그냥 한글로 써도 될 것 같은데 굳이 영어로 써야하나 하는 것들도 있긴한데요 아무튼 영어를 잘 해서 손해볼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영문직책 또는 영문직급 표기법을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몇 개의 표를 준비해보았으니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직위가 가장 높은 등급인 회장, 부회장, 사장, 이사 급입니다. 회장의 경우 Chairman 입니다. 회사에서 가장 높은 직급인데요 체어맨이라는 자동차를 연상하면 외우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회장이 타는 차니까 고급스러워야겠죠? 사장이나 대표이사는 President 라고 표기하는군요. 그 외에 지사장, 부사장, 전무, 상무, 감사 등이 있습니다.

 

 

이제 실장부터 비서까지의 영문직책을 봅시다. 대략적으로 봐도 직급 순서대로 표기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실장의 경우 General Manager 또는 Section Chief 라고 쓸 수 있습니다. 회사에 처음 들어가게 되면 사원부터 시작할텐데요 사원은 영어로 Staff 정도로 표기할 수 있겠네요. 비서는 우리가 알고있듯이 Secretary 라고 표기합니다.

 

 

이번에는 다른 영문직급들도 확인해봅시다. 사무국장, 상임고문, 기술고문, 전문위원, 감사, 기획실장, 팀장, 기사 등이 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연구 부분의 영문직책 및 영문직급 표기법을 확인해봅시다. 아래의 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연구원, 선임, 수석, 전임, 주임연구원이 나와있는데요 한가지 특징을 보시면 Research 그리고 Engineer 라는 단어들이 자주 들어가있다는 점입니다. 제가 이번시간에 모든 직책에 대하여 다 소개드리지는 못했겠지만 그래도 충분한 참고는 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