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편집기 - 레지스트리 실행과 활용 예시
레지스트리 편집은 사실 시스템 관리의 영역이기때문에 자주 건드리는 것은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자주 수정을 하다보면 실수를 할수도 있기때문에 잘못된 값을 저장하게 되면 나중에 다시 고치기가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개인적으로 컴퓨터 편집기인 레지스트리를 열어서 수정하는 것을 권장드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레지스트리 실행 방법 정도는 알아두어도 나쁘지는 않겠죠?
두가지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윈도우키 + R] 버튼을 누르시면 실행창을 열 수 있습니다. 열기 칸에다가 regedit이라고 입력 후 확인버튼을 눌러줍니다. 또다른 방법은 윈도우 시작버튼을 눌러서 검색창에 동일한 키워드로 검색 후 실행하는 것인데요 둘 중에서 여러분들이 선호하는 방법을 택해주시면 될 것 같네요.
이제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떴습니다. 저도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하는사람이 아니라서 자세한 사용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어떤식으로 값을 수정할 수 있는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평소에 컴퓨터를 하면서 자주 이용하는 것이 바로 키보드와 마우스인데요 각각의 폴더로 들어가서 키 입력 딜레이라든지 마우스의 속도와 같은 값을 수정할 수 있어요.
먼저 키보드 폴더로 들어가보겠습니다. 기본값과 이니셜키보드, 딜레이, 스피드와 같은 항목들이 있는데요 데이터 부분을 클릭하여 값을 수정해줍니다. 하지만 아까전에도 말씀드렸듯이 너무 빈번하게 컴퓨터 편집기 수정 작업을 하다보면 나중에는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헷갈릴수도 있고 오류가 발생할수도 있으니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번에는 마우스 폴더로 들어가보겠습니다. 키보드보다 더 많은 항목들과 값들이 보이는데요 시간, 속도, 감도 등에 대한 항목들이 있네요. 데이터 부분에는 숫자가 적혀있는데 아까와 동일한 방법으로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것으로 레지스트리 실행 및 활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