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code 조회 해보기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의 약칭이 바로 hs입니다. 국제무역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기준을 두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운송이나 무역통계, 관세, 보험 등의 부분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hs code 조회해보는 방법을 알아볼건데요 수많은 물품들에 대하여 각각의 코드가 있더군요.
이 정보를 얻기위해서는 관세법령정보포털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url 바로가기는 포털의 검색을 통하여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페이지 접속 후에는 위의 그림과 같은 메인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단쪽에 있는 [세계HS] 라고 적혀있는 메뉴를 눌러줍니다. hs 정보라든지 가이드, 품목분류에 대한 국내와 외국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hs code 조회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곡물, 산동물, 밀가루, 화장품, 음료, 주류 등과 같이 큰 분류가 되어있는데 특정 물품을 찾고싶다면 페이지 위쪽에 있는 검색창을 활용합니다. 저도 임의로 아무거나 검색을 하여 들어가보겠습니다.
곡물을 선택해보았는데 밀과 메슬린, 호밀, 보리, 귀리, 옥수수, 쌀, 수수 등의 곡물들이 나왔네요. 영문 표기도 나와있고 편람 및 해설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통칙과 부 해설 및 류 해설이 나와있으니 해당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쌀을 클릭하여 세부 품목으로 들어가보았습니다. 벼, 현미, 멥쌀, 찹쌀 등 종류도 참 다양하네요. 품목번호 부분이 바로 hs code인데 찰현미같은 경우는 1006202000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품목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해당 링크를 눌러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벼를 선택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국가와 해당년도, 품목번호, 단위, 국문과 영문, 간이정액환급,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오늘은 글의 분량이 좀 길어졌는데요 아무튼 hs code 조회 팁은 이쯤에서 마치도록 하고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