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액의 물건을 구매하게 되면 취득세라는 것을 내야합니다. 그 범위가 어디까지 적용되는지는 저도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은 모르겠는데요 어쨌든 자동차의 경우에는 구매시 부과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를 새롭게 구매할 때 단순히 차량가격만 생각할 것이아니라 취득세라든지 기타 세금 및 보험료 등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이용해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가끔 이용하는 사이트이기도 한데요 바로 cartok이라는 곳입니다. 카카오톡 사이트와 혼동할 수 있으니 url 주소를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링크를 타고 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위와같은 메인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 [등록비용 계산기] 단추를 눌러서 들어가줍니다.



신차를 구매할 때 등록비용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할부사별로 계산 방식이라든지 절차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이외에도 할부 및 자동차세를 계산할 수 있는 메뉴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그럼 이제 저도 임의로 조건을 설정하여 얼마가 나오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차종을 선택하고 배기량을 지정합니다. 그리고 승차정원과 등록조건, 감면조건 등도 입력해주세요. 지역 및 구매가격까지 설정하면 [계산하기] 단추를 눌러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입력하는 조건들은 가능하면 수치를 정확하게 하셔야 결과 역시 정확하게 나옵니다. 저는 차량가격을 1950만원으로 설정하고 지역은 울산으로 해보았습니다.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결과는 두가지 경우로 구분되었는데요 하나는 공채 매입시입니다. 취득세는 1240900원이지만 여기에 공채매입비 1420000원이 추가되어 총 2660900원이 되었네요. 만약 공채할인을 받을경우 합계금액은 1341876원이 되겠습니다.